전라남도 청사. 전라남도 제공전라남도의 한 공무원이 검찰의 사무관리비 수사 압박을 호소하며 안타까운 선택을 한 가운데 전라남도가 뒤늦게 심리안정 지원 계획을 내놨지만 늦어도 너무 늦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사무관리비를 사적으로 사용한 전라남도 소속 공무원 100여 명을 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검찰은 업무상 배임 및 허위공문서 작성 등의 혐의로 전남도 현직 공무원 7명과 전직 계약직 공무원 1명 등 모두 8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나머지 공무원 123명은 기소유예 처분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직원들이 장기간 수사로 심한 압박을 호소해왔다.
최근 한 직원이 수사 부담을 견디지 못해 안타까운 선택을 한 뒤 도청 안팎에서는 극도의 압박감이 확산되고 있으며, 일부 공무원들은 심리적으로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에 놓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전남도는 사무관리비 관련 직원 전원을 대상으로 지난 14일부터 24일까지 선배 공무원의 1대1 상담과 전문기관 심리검사를 진행하고, 고위험군은 정밀검사와 치료로 연계하는 심리안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그동안에도 다양한 심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지만, 직접적인 개입이 어렵고 강제성이 없어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심리상담은 개인의 동의와 참여가 필요한 사안으로 강제 시행은 어렵지만,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권유하고 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직원들의 심리적 회복과 조직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라남도의 한 직원은 "사무관리비 수사 초기부터 많은 직원이 심리적 압박을 호소했지만, 전라남도 관련 간부들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며 "직원이 안타까운 선택을 한 뒤에야 불똥이 튈까 만든 뒷북 대책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쓴소리를 쏟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