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화재가 발생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련동이 해체되고 있다. 한아름 기자진보당 광주시당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피해 협력업체 노동자에 대한 긴급 지원 기준을 '광주시 거주자'에서 '사업장 근무 여부'로 변경할 것을 29일 촉구했다.
진보당 시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인해 급여가 감소한 협력업체 노동자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그 대상이 광주시 거주자로 제한돼 있다"며 "전남 등 인근 지역에 주민등록을 둔 피해 노동자들이 지원에서 제외되는 것은 행정 편의만을 앞세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비정규직 및 간접고용 노동자들이 계약 해지나 임금 삭감 등 심각한 피해를 보고도 지원받지 못하는 현실은 사회적 안전망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민등록지를 이유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민주·인권·평화의 '광주 정신'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진보당 광주시당은 지원 기준을 '거주지'가 아닌 '사업장 근무 여부'로 변경하고, 비정규직 및 간접고용 노동자에 대한 별도 대책을 마련할 것을 광주시에 요구했다.
한편, 광주시는 금호타이어 화재로 급여가 10% 이상 감소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협력업체 긴급 지원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