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청사 전경. 광주시 제공광주시 신임 문화경제부시장에 김영문 전 대통령실 사회통합비서관이 선임되면서, 이번에도 어김없이 문화·경제 분야 전문성 논란이 불거졌다.
'문화경제부시장' 직제는 지난 2018년 문화·경제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며 도입된 자리다. 그러나 명칭과는 달리 실제 역할은 과거의 정무부시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시장의 정무적 업무를 보좌하고, 중앙정부·국회와의 관계 설정, 정치 현안 대응 등이 주요 임무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직책의 명칭과 실질적 기능 간 괴리는 인사 때마다 되풀이되는 논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문화'와 '경제'라는 이름 아래 정무 중심의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해당 분야 전문성 부족 논란은 불가피하다.
최근 선임된 김영문 부시장 역시 풍부한 국정 경험과 정당 실무 역량은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문화·경제 분야의 경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된다. 뛰어난 정치적 감각과 행정력을 갖춘 인사임에도, 부시장 직책 본연의 기능과의 괴리가 또다시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 안팎에서는 현행 '문화경제부시장'이라는 명칭을 과거의 '정무부시장'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명칭에 걸맞은 실질적 권한과 역할을 부여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를 발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든지, 아니면 명확하게 '정무부시장'으로 직책의 본질을 정의하든지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처럼 모호한 상태가 계속된다면 시민들의 신뢰를 잃고, 부시장의 역할 또한 효율성을 잃을 수밖에 없다. 이제는 '문화경제부시장'이라는 이름 뒤에 숨겨진 진짜 역할에 대해 냉철하게 성찰하고, 시민들에게도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때다. 광주시의 진지한 고민과 책임 있는 판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