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검색
  • 0
닫기

"발암물질 검출 지하수 2년 방치"… 광산구·광주시 책임 방기 논란

0

- +

박수기 의원 시정질문 통해 지적…"하남산단 인근 지하수 관리 부실"
기준치 초과 검출… 의원 "시민 노출에도 후속조치 없었다" 질타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이 15일 열린 제334회 광주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이 15일 열린 제334회 광주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광주 광산구 하남산단 인근 지하수에서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음에도 해당 지자체인 광주 광산구가 이를 2년 넘게 방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시 역시 오염 사실을 인지하고도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 지하수 관리 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15일 열린 제334회 광주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박수기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구5)은 "하남산단 인근 지하수에서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지만, 광산구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광주시도 시정요구나 대응 없이 방치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수기 의원은 "산단 주변 지하수는 인근 주민들의 생활과 건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오염 사실을 알고도 무대응으로 일관한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하남산단 일대 일부 지하수에서는 신장암과 중추신경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이 기준치의 466배,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은 284배 초과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접 주거지역인 수완지구의 생활용 관정에서도 같은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넘어 검출됐다.

광주시는 지난 2019년 수립한 '지하수 관리계획(2019~2028)'과 환경부 승인에 따라 하남산단 및 인근 지역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인지하고,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정밀 조사를 진행해왔다.

조사 결과에서도 TCE, PCE 오염이 꾸준히 검출됐지만, 광주시는 시민에게 이를 고지하지 않았고, 정화나 차단 등 실질적인 후속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수기 의원은 "광주시가 관할권 논쟁이나 구청 소관이라는 이유로 조치를 미루는 사이, 시민들은 발암물질에 노출된 채 2년을 살아왔다"며 강기정 시장의 사과와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시가 다소 소극적이었다는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지하수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권한과 책임은 광산구에 있다"고 해명했다.

강기정 시장은 "비용이 많이 들고 오래된 문제라 대응이 미진했을 수 있으나, 앞으로는 구청과 협력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