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지방해양경찰청 전경. 서해해경청 제공현직 서해해경청장이 지인이 연루된 고발 사건의 수사 과정에 압력을 행사하고 담당 수사팀장을 전출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돼 본청의 감찰이 진행중이다.
서해해양경찰청은 이명준 서해해경청장(치안감)을 비롯한 총경급 지휘관들의 수사외압 및 인사권 남용 의혹에 대해 감찰 조사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해양경찰청은 이 청장이 서해해경청 광역수사대 소속이던 A팀장의 수사 과정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압박했는지, 인사 지침을 바꿔 A팀장에 좌천성 인사 발령을 했는지 등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다.
이명준 서해해경청장은 전날 해명자료를 내고 모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전출된 수사팀장 A씨는 올해 2월 대형함정에 발령 조치돼 해상 출동 중으로 현재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A팀장은 올해 2월 함정 요원으로 발령받기 전까지 전남 신안군 가거도 방파제 건설사업 비위 고발사건을 담당했다.
해당 방파제 건설사업에는 2000억 원 가량의 세금이 투입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해양수산부의 고위공직자 등이 400억 원대 배임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이 청장은 해명자료에서 "수사과정에 대해 압력을 행사한 적 없고, 지인이 해당 사건의 수사대상자인 관계로 불필요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오히려 본인에게 수사 내용을 보고하지 말라고 지시했었다"고 밝혔다.
좌천성 인사 의혹에 대해서는 "본인은 A팀장의 잔류를 지시했으나 인사추천위원회에서 결정에 따라 전출된 것"이라고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A팀장이 서해해경청에서 목포해경서로 발령난 이후 A팀장이 우선 희망하는 파출소로 보내줄 것을 목포서장에게 당부했다"면서도, "목포서의 전체적인 인사 운영 및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해양범죄 수사요원으로 대형함정에 발령조치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서해해경청은 추가 해명자료를 내고 "A팀장이 맡고 있던 방파제 고발사건은 검찰과 경찰 등 타기관에서 총 4번의 수사가 있었고 그때마다 각하되거나 불기소 종결됐었다"며 "그럼에도 A팀장이 수사를 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함에 따라 수사가 개시됐었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