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경찰청 전경. 전남경찰 제공전남에서 실종된 지 1년이 넘은 장기 실종자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실종 사건을 전담할 인력 배치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2일 전남 나주에서는 80대 치매 노인 A씨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된 이후 헬기와 드론 등의 장비와 100여 명을 투입해 수색을 벌였지만 실종 8일이 지나도록 A씨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달 30일 화순에서는 지적 장애가 있는 30대 여성 B씨가 실종돼 20일이 지나도록 행방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전남에서는 최근 4년간 한 해 평균 600명 정도의 치매 환자와 지적 장애인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되고 있다.
최근 4년간 1년 이상 찾지 못한 장기 실종자는 대부분 치매 환자나 지적 장애인으로 한 해 평균 2명씩 발생하고 있다. 광주의 경우 최근 4년 간 장기 실종자가 단 1명에 불과한 것과 대조된다.
전남의 경우 대부분 경찰서에 실종 수사 전담 팀이나 인력이 배치되지 않아 실종 신고 이후 초기 대응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 경찰서 5곳에는 실종수사팀이 별도로 있다.
전남 한 경찰서 관계자는 "여수·목포·순천경찰서는 실종수사팀이 별도로 있지만 이외에 전남에 있는 3급 경찰서의 경우 형사과에서 실종 업무를 담당한다"며 "실종 신고가 몰리면 인력이 부족해 어려움이 크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장기 실종자를 막기 위해서는 팀 단위 규모는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실종 수사를 전담할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주대 정보성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실종 수사의 경우 전담 인력을 통해 초기 대응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필요하다면 법 개정을 통해서 인력을 보강하는 방법도 고민해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잇따르고 있는 실종 사건을 조기에 해결하기 위한 인력 보강 등 경찰의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